검사외전

 

 

영화를 보다
또 한편의 영화를 봤는데, 생각보다 좀 더 일찍 보게된 검사외전이다. 사실 검사라는 직업은 항상 나를 설레게하는 직업이고, 덕분에 꼭 한 번은 봐야겠다는 생각을 하고는 있었다. 그렇지만 사실 알고 있었다. 내가 생각하는 그런 제대로 된 검사가 나오는 영화도 아니고, 그런 제대로 된 법정물도 아니라는 것을. 광고부터 이 영화는 대놓고 한국영화스러웠다. “나 그렇게 무거운 영화 아니야. 와서 한 번만 봐보라니까? 이거 완전 웃긴 영화임, 돈워리 돈워리.” 딱 그런 광고. 딱 그런 내용. 대단할 것도 없고 실망스러울 것도 없는 영화.

 

크게 기대하지 않아서였는지 영화 자체는 나쁘지 않았다. 물론 엄청 재밌다거나 엄청 인상깊게 본 것도 아니었다. 솔직히 제돈 다 주고 볼만큼의 가치가 있냐고 누가 묻는다면 강동원이 있으니 그럴지도 모르겠네요...라고 답은 하겠지만 영화 자체는 그렇게 훌륭한 영화는 아니었다. ‘검은사제들’이 장르가 강동원(VER. 사제)이었다면 이건 장르가 강동원(VER. 검사) 정도.

 


강동원과 황정민
영화는 강동원과 황정민으로 요약된다. 폭력검사인 황정민이 사기꾼인 강동원을 만나 자신의 결백을 증명한다는 내용인데, 사실 내용 자체는 굉장히 진부한 편이다. 그다지 새로울 것도 없다. 영화는 우리가 예상한 시나리오 그대로 흘러간다. 성공리에 나간 강동원은 여기저기 찌르고 다니면서 결국 주인공인 황정민을 구출해낸다. 검사외전이지만 사실 내용은 사기꾼외전이다. 이 영화의 전체적인 내용은 “황정민이 어떻게 나오는가”가 아니고 “강동원이 어떻게 황정민을 빼내는가”다. 그 와중에 검사버전 강동원, 알바생버전 강동원, 수감자버전 강동원, 용역버전 강동원 등 다채로운 강동원을 볼 수 있다. 이 영화의 장르가 강동원이라고 하는 이유가 거기에 있다.

 

검은사제들이 장르가 강동원이었다고 하는 이유는 강동원이 너무 압도적이었기 때문이었다. 무얼 하더라도 강동원이 우리 눈을 사로잡았다. 이번 영화는 좀 다르다. 이번 영화는 사실 강동원 빼고는 크게 볼게 없는 영화다. 강동원, 황정민, 그리고 남은 모든 배우들을 제외하면 크게 볼게 없는 영화다. 그렇다고 해서 캐릭터성으로 어필한 영화도 아니다. 이 영화는 그냥 배우가 영화 그 자체다.

 

 

마이너한 내부자들
영화를 직접 보지 않고, 플롯을 말로 풀어보면, 영화가 생각보다 내부자들과 닮았다. 물론 내부자들처럼 본격 느와르물도 아니고, 사회의 악을 드러내는 그런 원대한 게 있는 것도 아니다. 내부자들의 백윤식같은 임팩트있는 악역이 있지도 않고, 이병헌같은 조력자가 있는 것도 아니고, 조승우같은 멋진 검사도 없다. 그저 같은 폭력검사, 막나가는 검사가 주인공으로 나온다는 점과, 조직의 덫에 빠진다는 점만 닮았다.

 

그럼에도 영화를 보고 있노라면 내부자들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시나리오는 충분히 재밌어질 수 있었다. 그러니까, 지금보다 훨씬 더 말이다. 영화는 노선을 조금 잘못 탔다고 생각되는데, 차라리 내부자들처럼 무게있는 작품으로 갔다면 똑같은 소재, 똑같은 스토리로도 훨씬 더 작품성있는 영화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영화는 후술하겠지만 그런 노선을 포기하고 전형적인 한국식 개그를 섞어넣음으로써 엄청나게 가벼운 영화가 됐다. 박성웅과 이성민을 포함하여 무게를 잡아줘야하는 악역은 방방뛰는 개그캐릭터 비슷하게 되버렸고, 강동원이나 황정민은 처음부터 그랬다. 이 영화가 꼬이기 시작한 건 아마 거기부터였을 것이다.

 

물론 덕분에 균형은 잘 맞아떨어진다. 모두가 가벼운 영화. 그게 이 영화의 근본이다. 이 영화는 애초에 시작부터 가벼운 영화였던거다. 사회비판, 사회고발을 소재로 삼아 만든 가벼운 영화. 관객에게 무언가 메시지를 주려고 노력하는 것 같긴 한데, 정말로 ‘것 같기만’ 하다. 마치 이런 뒷배경이 있을 것 같다.

 

A: 우리가 이번에 영화를 새로 만들어야되는데.
B: 그렇죠.
A: 근데 자네, 내부자들 봤나? 조승우가 아주 멋지더구만 그래.
B: 그러게요. 부당거래 보셨어요? 요즘 경찰이나 검사, 법조인 나오는 영화 있기가 좋더라구요. 정의롭거나, 뭐 고발하거나, 법정물이거나.
A: 아, 안그래도 황정민씨가 우리 영화에 나와. 우리도 그런거 한 번 해봐야되겠네.
B: 기왕이면 검사로 하자구요.
A: 그래. 그래도 우리나라 시장엔 코메디가 먹히는 법이지.
B: 그럼 강동원씨는 개그캐릭터로 하면 되겠네요. 검사가 주인공인데, 그게 개그캐릭터여도 재밌겠어요! 반전매력이랄까?
A: 그래, 공공의적 보니까 형사가 개그 좀 해도 괜찮던데, 검사라고 못할 거 있겠어?
(※필자 상상임)

 

물론 결과적으로 이 영화는 내부자들, 부당거래, 공공의적과 완전히 다른 영화가 됐다. 형식적인 사회비판, 법정물같지 않은 법정물이 등장하고, 검사야 이름이 검사외전이니 당연히 나오지만 장르는 코메디.

 

 

가볍고 나쁘지 않은, 그러나 좋지도 않은 전형적인 한국영화
그래서 지금의 검사외전이 마냥 싫으냐하면 그건 아니다. 가볍고, 나쁘지 않다. 그런데 너무 전형적이다. 이런 한국영화는 굳이 검사외전이 아니더라도 이미 충분히 쏟아져나왔다는게 문제다. 솔직히 말하면 강동원이라는 배우, 그리고 쇼박스 배급이 아니었다면, 이 정도로 스크린을 차지할 수 있는 영화도 아니었고 그렇다면 지금과 같은 흥행도 어려웠을 것이다. 이런 영화는 그런 시장을 노린 영화다. 소설로 치자면 도서대여점을 노리고 나온 판타지소설같은 느낌이랄까. 읽고 있으면 재밌고 시간도 잘가고 이런 소설이 세상에서 없어지면 좋겠는건 아닌데 작품성은 따질 생각조차 들지 않고 옆을 돌아보면 주인공이름만 바뀐 것 같은 똑같은 이야기들이 잔뜩 쌓여있는 그런 소설. 이 영화도 본질적으로는 그와 굉장히 유사하다.

 

사실은 굉장히 아쉬운 영화라고 생각한다. 이렇게 가볍게 만들지 않았다면, 소재는 나쁘지 않았다. 물론 소재 자체가 굉장히 참신한 것은 아니니 영화도 엄청난 영화가 나올 것은 아니었지만, 이렇게 가볍게 웃고 넘길 영화가 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소민(素旼)

공부하고 있습니다. 문의: kimv23@gmail.com

    이미지 맵

    영화/한국 다른 글

    이전 글

    다음 글